본문 바로가기
4학기/JAVA

[Java] 생활코딩 - 변수, 데이터 타입

by sshnnne 2022. 7. 8.

- 변수 : 데이터를 담는 container

- 정수 : int

- 실수 : double

- 문자열 : String

 

- 주석

1) //을 사용하여 주석 표기

2) JavaDoc 주석 : /**으로 시작. 자바의 문서를 만들 때 사용

 

- 세미콜론

: represents end of statement

여러 개의 문장을 한 줄에 표현할 수 있다.

ex) int a = 100; double b = 10.1

 

- 데이터의 크기

 

8 bit = 1 byte

1024 byte = 1 kilobyte

1024 kilobyte = 1 megabyte

1024 megabyte = 1 gigabyte

1024 gigabyte = 1 terabyte

1024 terabyte = 1 petabyte

1024 petabyte = 1 exabyte

1024 exabyte = 1 zettabyte

 

1 bit는 0과 1의 값을 가질 수 있다.

 

- 정수형

byte = 1 byte = -128 ~ 127

short = 2 byte = -32,768 ~ 32, 767

int = 4 byte = 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

long = 8 byte = -9,223,372,036,854,775,808 ~ 9,223,372,036,854,775,807

 

수가 사실상 정해져있고, 100을 넘을 가능성이 없는 정보의 경우 byte로 표현하는 것이 더 효율적.

 

- 실수형

float = 4 byte = ±(1.40129846432481707e-45 ~ 3.40282346638528860e+38)

double = 8 byte = ±(4.94065645841246544e-324d ~ 1.79769313486231570e+308d)

 

- 문자

char = 2 byte

 

- 상수 : 변하지 않는 값

- 명시적 데이터 타입 표현 : float a = 2.2F; (F는 해당 기호 앞 숫자가 float 라는 것을 명시해줌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