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새로운 파이썬 스크립트를 만들고, 세 가지 다른 리스트를 만들고, 각 리스트를 합쳐보자. 그 다음 for문과 각 리스트를 반복할 위치 인덱스 (즉 range(len()))를 이용하여 화면에 리스트의 인덱스와 해당하는 값을 출력해보자.
a_list = ['a', 'b', 'c']
b_list = ['d', 'e', 'f']
c_list = ['g', 'h', 'i']
whole_list = a_list + b_list + c_list
for i in range(len(whole_list)):
print("{}, {}".format(i, whole_list[i]))
2. 새로운 파이썬 스크립트를 만들고, 동일한 길이를 가진 리스트 두 개를 만드다. 이 중 하나의 리스트에는 서로 고유한 문자열을 넣고, 빈 딕셔너리를 하나 추가로 만든다. 그 다음 for문과 위치 인덱스, 그리고 고유한 문자열을 지닌 리스트의 각 값들이 이미 딕셔너리에 있는 키인지 확인하는 if문을 작성한다. 만약 딕셔너리에 없는 문자열이라면, 딕셔너리에 키를 저장하고, 동일한 위치에 있는 다른 리스트의 값을 해당 키와 연관된 값으로 추가한다. 마지막으로 화면에 딕셔너리의 키와 각 연관된 값을 출력한다.
3. 새로운 파이썬 스크립트를 만들고, 동일한 길이의 리스트들로 구성된 리스트를 하나 만든다. 이 리스트로 된 리스트를 반복 처리하기 위해 1.7.2절에서 작성한 코드를 수정해보자. 그다음 각 리스트에 있는 값을 쉼표로 구분하되 마지막 값 뒤에는 개행문자를 붙여 화면에 출력해보자.
lst = [ ['a', 'b', 'c'], ['d', 'e', 'f']]
for i in lst:
max_index = len(lst)
rst = ""
for j in range(len(lst)):
if (j < max_index - 1):
rst += lst[j] + ','
else:
rst += lst[j] + '\n'
print(rst)
'공부 > 데이터 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데이터 분석 입문] Chapter 5. 응용 작업 (1) | 2022.11.15 |
---|---|
[파이썬 데이터 분석 입문] Chapter 2. 연습문제 (0) | 2022.09.03 |
[파이썬 데이터 분석 입문] Chapter 2. CSV 파일 (0) | 2022.09.03 |
[파이썬 데이터 분석 입문] Chapter 1 (0) | 2022.08.23 |